자바스크립트로 개발을 해본 개발자라면, Math.abs
를 이용하여 절대값을 구하거나 Math.round
를 이용하여 반올림을 하는 등의 경험은 대부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수식을 처리하기 위해 Math객체를 사용한다.
이번 글에서는 Math객체의 특징과 주의해야할 부분, 그리고 활용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겠다.
Math객체는 다른 글로벌 객체외 다르게 생성자가 아니다. 다시말해,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만들 수 없다. 하지만 Math객체의 모든 메소드(methods)와 프로퍼티(properties)는 static이기 때문에, Math객체에 바로 접근하여 사용 가능하다. 다음은 Date와 Math의 사용 방법의 차이를 보여주는 예제이다.
// Date
var date = new Date();
date.getTime();
// Math
var absValue = Math.abs(-20);
Math객체가 제공하는 프로퍼티는 Math.PI
, Math.E
와 같이 수학식에서 사용하는 상수들로 구성되어있다.
자세한 내용은 MDN Math,
MSDN Math등의 문서를 참조하길 바란다.
Math 객체는 다양한 삼각함수들(Math.sin, Math.cos,...)을 지원한다. 이들을 사용하면 파이 그래프 호의 좌표나 회전된 상자의 높이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각도 값을 인자로 받게 되는데, 이때 입력하는 각도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도(degree)가 아닌 라디안(radian) 값을 필요로 한다.
도(degree)와 라디안(radian)
도는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각도를 말하며 원을 360등분한 60분법을 사용한다.
반면에, 라디안은 반지름과 호의 길이가 같을 때의 중심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호도법을 사용한다.
> > >
> 도(degree) > 라디안(radian)
도 정보만 알고있는 경우 라디안으로 변환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변환공식을 사용해 변환할 수 있다.
var degree = 30;
var radian = (degree * Math.PI) / 180;
역으로 변환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처리하면 된다.
var radian = 0.5235987755982988;
var degree = (radian * 180) / Math.PI;
Math객체의 삼각함수들을 사용하려면 도(degree)가 아닌 라디안(radian)을 사용해야 함을 잊지 말자.
Math 객체의 라운딩 함수(Math.ceil
, Math.round
, Math.floor
)들은 당연한 이야기지만 수학의 처리방식을 따른다.
예를 들어, Math.floor
(버림)는 양수 1.12대해서는 1 이라는 결과값을 -1.12에 대해서는 -2라는 결과값을 주게 된다.
이는 Math.ceil
, Math.round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올림
console.log(Math.ceil(1.12)); // 2;
console.log(Math.ceil(-1.12)); // -1;
// 반올림
console.log(Math.round(1.12)); // 1;
console.log(Math.round(-1.12)); // -2;
// 버림
console.log(Math.floor(1.12)); // 1;
console.log(Math.floor(-1.12)); // -2;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Math객체를 이용하여 소수점 이하 버리기를 하고 싶은 경우에는 음수, 양수 여부에 따라서 달리 처리해주어야 한다.
function truncateDecimal(value) {
var int;
if (value < 0) {
int = Math.ceil(value);
} else {
int = Math.floor(value);
}
return int;
}
console.log(truncateDecimal(3.14159)); // 3
console.log(truncateDecimal(-3.14159)); // -3
es2015(es6)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지원하는 Math.trunc를 제공한다.
console.log(Math.trunc(3.14159)); // 3
console.log(Math.trunc(-3.14159)); // -3
parseInt()에 radix 10을 사용하면 Math.trunc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onsole.log(parseInt(-3.14159, 10)); // -3
그러나 parseInt는 문자열(string)을 숫자(number)로 변환하는 용도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입력값이 숫자인 경우에는 불필요한 문자열 형변환을 하게된다. (숫자 --> 문자열 --> 숫자)
이는 아래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게 하기도 한다.
var num = 1000000000000000000000;
console.log(parseInt(num, 10)); // 1;
개발을 하다보면 숫자형을 유지한채 소수점 n번째 자리까지만 소수점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Math.floor
와 Math.pow
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function truncateDecimalUntilLimit(number, limit) {
var rounded = Math.pow(10, limit);
return Math.floor(number * rounded) / rounded;
}
console.log(truncateDecimalUntilLimit(1.4142, 2)); // 1.41
toFixed
와 parseFloat
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console.log(parseFloat((1.4142).toFixed(2))); // 1.41
Math객체를 활용하면 형변환을 하지 않기 때문에, toFixed를 사용하는 것 보다 성능면에서 이득을 준다.
다음은 두가지 방법의 성능 테스트 예제다.
http://jsperf.com/truncate-decimal-until-limit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사용하다보면 배열중에 최대값이나 최소값을 얻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Math.min
, Math.max
를 활용할 수 있다.
Math.min
, Math.max
는 전달된 인자들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할 수 있는 함수이다.
var min = Math.min(5, 10),
max = Math.max(5, 10);
console.log(min); // 5
console.log(max); // 10
이 두 함수를 apply를 이용하여 호출하면, 배열의 min, max를 구할 수 있다.
var arr = [10, 3, 2, 8, 4, 6, 5],
min = Math.min.apply(null, arr),
max = Math.max.apply(null, arr);
console.log(min); // 2
console.log(max); // 10
Math.random
이라는 함수는 0 ~ 1 사이의 숫자를 랜덤하게 반환한다.
Math.random
과 Math.floor
를 이용하면, 원하는 범위의 랜덤 숫자를 구할 수 있다.
function getRandom(start, end) {
return start + Math.floor(Math.random() * (end - start + 1));
}
console.log(getRandom(1, 10)); // 1 ~ 10사이의 random 숫자 반환
지금까지 Math객체와 몇가지 활용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 정리된 내용이, Math객체를 사용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